
<디지털뉴스팀> 지난해 여름 빌딩풍으로 몸살을 앓았던 부산 해운대구 고층빌딩 밀집지역에 상시 풍속 측정이 가능한 빌딩풍 측정기가 설치된다.
3일 해운대구와 해운대 빌딩풍 대응기술개발 연구단 등에 따르면 이달 중 고층빌딩이 밀집한 미포와 마린시티 일대에 빌딩풍 측정기 10여대가 설치된다.
연구단에 따르면 미포와 마린시티 일대는 빌딩풍이 강한 지역이지만 풍속을 상시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측정기가 없어 즉각 대응이 힘들었다.
이번에 빌딩풍 측정기가 설치되면서 태풍이 상륙하거나 강풍주의보가 발효되는 특별한 경우가 아니더라도 평상시 풍속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게 됐다.
연구단은 지난해 태풍 ‘마이삭’과 ‘하이선’ 당시 순간최대풍속 47~50m/s에 달했던 곳에 설치된 가로등, 신호등 등 시설물에 빌딩풍 측정기 10여대를 설치할 예정이다.
지면에 단단히 고정된 시설물이면서 높이 2m 이상이어야 장애물의 영향을 받지 않고 바람세기를 측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.
해운대구는 빌딩풍 측정기 설치 지점에 대한 안전성 검토 등을 마친 뒤 승인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.
연구단장인 권순철 부산대 교수는 “평상시에도 바람세기를 측정할 수 있는 측정기를 설치해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에 의미가 크다”고 설명했다. 연구단은 측정기 설치 대수를 점차 늘려나갈 예정이다.
이렇게 수집된 데이터는 향후 풍속 단계에 따라 주민 대응책을 수립하는 데 참고자료로 쓰일 예정이다.
방풍펜스 설치를 위한 풍동실험도 진행된다.
영국 리즈시에서는 강풍으로 인해 트럭이 전복되는 등 피해가 잇따르자 방풍펜스를 설치해 풍속을 저감한 사례가 있다.
연구단은 풍동실험을 통해 미포와 마린시티 일대에 방풍펜스를 설치할 경우 풍속 저감 효과에 대해서도 분석할 계획이다.
권 교수는 “빌딩풍이 신종재난으로 떠오른 만큼 단기적으로도 올해 여름에 대비해 주민들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대책이 필요하다”고 강조했다.
한편 해운대 빌딩풍 대응기술개발 연구단은 행정안전부와 부산시 용역으로 2022년 12월까지 해운대구 빌딩풍 피해예방을 위한 연구를 진행한다. 시는 용역 결과에 따라 빌딩풍 피해예방을 위한 대책 마련에 나설 계획이다.